야외활동/자전거(MTB) 정비 및 관리20 자전거 업그레이드 2 2014년 봄에 스테인리스 프레임에 부속품으로 시마노 XT급과 데오레급을 혼합하여 구성한 자전거를 구입하여 지금까지 약 8년을 넘는 시간을 희로애락을 같이 하면서 지내왔던 자전거를 이제 놓아줄 때가 된 것 같아 새 자전거를 구입하여 새로운 애마로써 준비를 마쳤습니다. 새로 구입한 자전거는 요즘 대세에 맞춰 카본 프레임으로 강도가 조금 높은 산악용으로 쓰는 것을 선택하고, 부속품은 시마노 풀 XT급으로 구성하였고, 포크(앞 서스펜션)는 락샥 쥬디를 선택하여 초급을 벗어난 중급에 가까운 산악 라이딩을 하려고 준비를 하였습니다. 자전거를 구입하면서 여러 회사 제품을 비교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려고 노력하면서, 가능한 국내에서 생산된 카본 완성차를 구입하려 하였으나, 성능 대비 가격이 예상보다 너무 높아서 결국 .. 2022. 6. 14. 타이어 공기압과 관련된 주행 중 추락 사고 와 펑크 지난 산악 임도 주행에서 낙엽 속에 숨겨져 있던 돌출 암석에 앞바퀴가 튕기면서 무게 중심을 미처 잡기도 전에 몸이 튕겨져 추락을 하여 왼쪽 무릎에 찰과상을 입었는데, 그 후 3일 후에도 빠르게 도로주행을 하다가 앞에 멈춰있는 차량을 피하고자 낮은 경계석을 넘어 인도로 들어서다 뒷바퀴가 앞바퀴를 미처 따라 오르지 못하고 걸려 넘어지면서 다시 한번 반대편 쪽인 오른쪽 무릎과 오른쪽 팔꿈치에 깊은 찰과상을 입었습니다...^^ 그러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처가 반도 낫지 않은 상태에서 대일밴드에 붕대를 감고 산악 임도 주행에 다시 임하였으니 나 스스로도 산악자전거에 빠질대로 빠졌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군요....^^ 자전거 주행 중에 추락하는 경우는 일차적으로 주행 중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바닥 돌출부로 인한 장.. 2020. 10. 31. 체인 교체 / 끊어진 체인 연결 체인은 크랭크의 구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는 부품으로 페달링을 하므로써 끊임없이 당겨지고 비틀리며 힘을 받는 부위입니다. 따라서 팽팽하던 체인도 사용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늘어나고 변형이 되므로 상태를 점검하여 교체하여야 합니다. 아직 교체할 시기가 되지 않은 체인인 경우도 산악MTB 라이딩 처럼 주행을 험하게 하는 경우는 주행 중에 타이어 펑크만큼 체인이 끊어지는 것이 다반사입니다. 따라서 체인을 연결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유리합니다. 새 체인을 교체하거나 라이딩 중에 끊어진 체인을 연결할 때는 체인링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주행 중에 체인이 끊어지는 경우에 체인 연결은 5번 부터 작업순서 부터 따라하면 됩니다. < 새 체인을 교체하거나 끊어진 체인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 2020. 10. 18. 브레이크 패드 교체 (유압식) 캘리퍼에서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를 교체하는 작업은 알고보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브레이크 패드는 바퀴를 뺀 다음에 캘리퍼 속에 패드의 두께를 살펴보고 패드가 뒤의 판까지 거의 다달을 정도로 마모가 되었을 때에 교체를 합니다. 1. 일단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할 곳의 바퀴를 뺀 뒤에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하는 핀이나 스냅 링을 뺍니다. 2. 드라이버나 육각렌치로 고정핀을 풉니다. ( 어떤 제품은 그냥 스냅 링으로만 고정된 캘리퍼도 있어 이 작업이 필요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 3. 캘리퍼에서 패드와 스프링 일체를 롱로이즈 팬치나 핀셋 등으로 들어내어 빼냅니다. 4. 새 패드를 끼우기 전에 캘리퍼 안쪽의 좌우 피스톤을 드라이버로 힘주어 눌러 안쪽으로 들어가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새 패드를 끼운 다음 바퀴를.. 2020. 8. 28. 자전거 청소와 윤활 자전거 청소 자전거는 깨끗이 관리할수록 부품 수명이 길어지는데, 청소를 하면서 부품상태를 점검하여 문제점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 청소는 자전거 관리의 기본이 되어야 합니다. 1. 자전거는 물청소가 기본이므로 물을 뿌리면서 부러시로 오물을 씻어냅니다. 이때 물이 들어가면 안되는 앞/뒤 바퀴의 허브부분(바퀴 회전축)과 바텀 브라켓(BB; 페달회전축), 변속레버와 브레이크 레버 그리고 케이블이나 서브펜션 부분은 물살을 약하게 하여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물걸레로 닦는 것이 좋습니다. 2. 체인링(앞기어)과 스프라켓(뒷기어) 주변 그리고 체인은 기름때로 인하여 물로 세척이 안되므로 휘발성 세척제와 함께 부러시 혹은 체인 청소기를 이용하여 세척을 해야 합니다. 3. 휘발성 세척제로 닦은 부분은 세척.. 2020. 5. 3. 타이어 펑크 수리 및 타이어 교체 자전거 바퀴는 휠과 타이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휠은 다시 허브(가운데 회전체)와 스포크(바퀴살), 림(바같 회전체)으로 구성되며, 자전거 바퀴는 림에 타이어를 끼워 사용하게 됩니다. 1. 프레임에서 바퀴 빼기 앞바퀴인 경우는 포크(앞바퀴가 핸들과 연결된 포크같이 생긴 장치)의 릴리스 레버를 바같으로 젖힌 상태에서 반대편 너트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느슨하게 푼 다음에 앞바퀴를 포크에서 뺍니다. 뒤바퀴인 경우는 체인을 스프라켓의 가장 작은 기어로 옮긴다음, 릴리스 레버를 바같쪽으로 젖히고 앞바퀴와 마찬가지로 반대편 너트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느슨하게 만든 다음에 드레일러 몸체를 뒤로 당겨서 뒤바퀴를 프레임에서 뺍니다. 2. 타이어와 튜브를 림에서 분리 타이어 밸브를 고정하고 있는 밸브 너트를 림에서 뺀.. 2020. 4. 20. 이전 1 2 3 4 다음